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강도와 탄성이 좋고 100°C 이상에서도 견뎌냅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강도와 탄성 뿐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이 뛰어나 생활용품,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및 항공기 구조물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절연성이 기본 특성인 플라스틱이지만 첨가제 배합을 통해 전도성을 가지게 하거나 EMI 차폐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뛰어난 특성을 지닌 플라스틱 재료도 잇달아 개발되고 있는데 이들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며, 수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 (Super Engineering Plastics, Advanced Engineering Plastics) 으로도 분류하기도 합니다.
수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구분은 강도와 열변형온도에 의해서 구별되는데, 범용 플라스틱은 대부분이 100°C 정도면 열변형하는데, 특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600°C에 견디는 것이 있습니다. 인장강도에서는 범용이 500kg/cm2 이하, 특히 폴리에틸렌은 130kg/cm2 정도인데 비해 수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500kg/cm2 이상인 것도 있습니다.
어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가장 좋은 플라스틱 소재인지 문의하신다면 하나를 정할 수는 없습니다. 사용하시려는 용도 및 환경, 요구 물성, 형상 및 크기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소재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열성, 내화학성, 치수안정성, 사출성, 내마모성, 양산성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해 검토하고 적절한 소재를 선정해야 합니다.
또한, 적합한 금형 설계와 제작이 동반되어야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큐케미칼(주)는 지난 30년간 축적된 플라스틱 경험과 노하우로 고객에게 최적의 소재를 최선의 조건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컨설팅, 유통을 통해 고객들의 사업을 지원하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고기능 제품 (High-Performance materials)
장섬유 보강 제품 (Long fiber thermoplastics)
특수기능 제품 (Technical compounds)